Full width home advertisement

Post Page Advertisement [Top]

작성자 : 대숲바람불어 님



의외로 자주 접하게 되는 교량 중에 강재가 노출된 형태의 라멘교량이 많습니다. 이러한 구조의 공법이 여러 회사에서 시공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오늘은 구조를 하시는 분, 시공을 하시는 분들과 함께 라멘교량에 대해 다같이 고민해보는 차원에서 글을 올립니다.
제가 본 교량은 DSP 복합판형 라멘교량입니다. 특이하게도 곡선 R이 상당히 큰 교량입니다. 소하천 교량에서 보기 드믈다고 생각하는데요, 그래서 이 교량을 선택했습니다. 라멘교량의 우각부 균열이 상당히 심하다는 게시글이 많은데 제가 본 교량도 마찬가지 입니다.

우선 교량의 전경 사진입니다. 아직 하천정비가 이루어지고 있는것으로 미루어 짐작컨데 교량준공이 얼마안된 교량 같습니다. 아직 교명주도 설치되지 않았습니다.



거더와 우각부가 만나는 부분에서 시작된 균열이 플랜지와 동일한 각도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는것을 보실수 있습니다. 라멘교량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 균열의 형태입니다.



강재거더와 연결되는 우각부의 두께를 측정해 보았습니다. 대략 10cm 정도로 확인되었습니다.
제 생각은 이 콘크리트 피복이 너무 얇은게 아닌가 하는겁니다. 하이드로 라멘교의 경우 플랜지가 우각부 표면에 노출되는데 나머지 강라멘교는 아니거든요. 피복과 넉넉한 철근 배근을 한다면 괜찮아지지 않을까 하는데 여러분의 생각도 알고 싶습니다.



다음은 이미 균열조사가 되어 있는 사진인데 얼마 안된것을 알수있습니다. 대부분의 균열이 0.3mm를 보이고 있으며 벽체에 골고루 나타나고 있습니다.
 


백화의 진행도 확인되었습니다.


진심 여러분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라멘교의 고질적인 균열. 어떻게 제어할수 있을까요? 


#교량 #특허공법 #교량특허 #사장교 #현수교 #거더교 #라멘교 #건설과사람들 #특수교량 #교량설계 #교량시공 #설치 #가설 #용접 #교좌장치 #슬래브 #난간 #포장 #아스콘 #레미콘 #포스트텐션 #프리텐션 #긴장작업 #인장작업 #쉬스관 #강연선 #PC강재 #PS강재 #특허출원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Bottom Ad [Post Page]

| Designed by Colorli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