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튼브릿지는 화순에 본사를 둔 업체더군요. 강재가 노출된 라멘교와 콘크리트로 둘러싸인 강합성 라멘이 있는데 모두 TANK(탱크)라는 이름을 쓰고 있어서 저도 그냥 TANK 라멘교라고 부르도록 하겠습니다. 제주도 실시권업체에서 시공하다 문제가 되었다는 기사는 워낙 유명하기에 저또한 본적이 있습니다.
리튼브릿지의 교량은 화순지역뿐 아니라 전라남도에 워낙 많이 시공했기에 어디를 가나 쉽게 볼 수가 있는 공법이더군요. 이번 교량은 '춘양교'라는 교량입니다. 라멘교량에 관심이 많으시거나 향후 시공예정이신 분들과 함께 생각해 보기위해 몇장의 사진을 준비해 보았습니다.
교명주를 보니 2013년 착공하여 2017년 7월에 준공한 교량입니다. 예산문제인지는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준공까지 4년이나 걸렸습니다. 2달전에 준공하였으니 아주 새교량이라고 봐도 무방할겁니다.
교대를 보면 시공이음이 확연한데, 미루어 짐작하건데 교각을 타설하고 상당한 기간이 흘러서 나머지 부분이 타설된게 아닌가 합니다. 거더의 상태도 제작 후 시간이 많이 지나지 않았나 하는 생각도 들고요. 물론 추측이기는 합니다만.
슬래브나 우각부의 타설은 비교적 오래되지 않은 느낌의 뽀얀색을 보이는 콘크리트 상태입니다. 하지만 우각부의 균열이 상당합니다. 흔히들 말씀하시는 에폭시 주입을 필요로하는 0.3mm 균열을 훨씬 넘어선 상태입니다. 얼핏보아도 1mm 이상의 상당히 큰 균열로 보여집니다.
우각부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균열이 우각부 하면을 지나 교대까지 길게 연결되어진 것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준공이 두 달 밖에 안되었다는게 믿어지지 않을 정도의 균열입니다. 할렬균열이 아닌가하는 생각도 듭니다.
게시글을 보니 다른 공법의 라멘교량에서도 발생하는 것은데 혹시 라멘교량 설계하시는 분들이 계시다면 이런 부분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설계, 시공하시는 분들께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단순하게 본 '춘양교'에서만 발생된 균열인지 동일 공법의 다른 교량도 조사해 보고 정보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교량 #특허공법 #교량특허 #사장교 #현수교 #거더교 #라멘교 #건설과사람들 #특수교량 #교량설계 #교량시공 #설치 #가설 #용접 #교좌장치 #슬래브 #난간 #포장 #아스콘 #레미콘 #포스트텐션 #프리텐션 #긴장작업 #인장작업 #쉬스관 #강연선 #PC강재 #PS강재 #특허출원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