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width home advertisement

Post Page Advertisement [Top]

작성자 : 이면지활용 님



우연히 발견한 프리콤 철도교량이 있어서 구경 좀 했습니다.
흔히 볼 수 있는 강합성 거더교와 달리 단부 보강이 없는게 특징같은데, 지난번 어느 게시글에서 프리콤의 경우 단부 보강재가 필요없는 이유와 관련된 댓글을 보고 이해는 했습니다.(프리플렉션을 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아래 사진처럼 단부보강재가 보이지 않습니다. 긴장 후 마감에 그라우팅 파이프가 보입니다. 조금 짧게 잘랐으면 좋았을텐데 하는 생각~





상부로 노출된 에어벤트 사진입니다. 그라우팅이 잘 되었는지 알수가 없네요. 완벽하게 채워진 상태에서 절단 했었다면 경화되어있는 몰탈이 보일텐데 그렇지가 않네요.
무슨 거더인지 언급하기 그렇지만 이런 그라우트 밀크의 충진 때문에 도로공사에서도 난리가 난적이 있다고 들은적이 있습니다.



아래 사진은 회사 동료한테 얻은 사진입니다. 이게 정상적으로 그라우트 밀크가 주입되어 있는 상태라고 하네요.



콘크리트 하면에 보수 흔적이 정말 많이 보였습니다. 특이점은 보수한 곳에 다시 균열이 발생했다는 것입니다.
교축방향의 균열이 대부분이고 균열폭은 그닥 커보이지는 않지만 왜 이런 균열이 생겼는지 의문이 가더군요.
그리고 인서트 플레이트쪽에 발생한 균열은 균열폭이 조금 되보이는 정도입니다. 멀리서도 눈에 보일 정도니 대충 짐작에....글쎄요~


혹시 이러한 교축방향 균열(종방향 균열)의 원인은 무엇인지 잘 아시는 분이 계실까요?


#교량 #특허공법 #교량특허 #사장교 #현수교 #거더교 #라멘교 #건설과사람들 #특수교량 #교량설계 #교량시공 #설치 #가설 #용접 #교좌장치 #슬래브 #난간 #포장 #아스콘 #레미콘 #포스트텐션 #프리텐션 #긴장작업 #인장작업 #쉬스관 #강연선 #PC강재 #PS강재 #특허출원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Bottom Ad [Post Page]

| Designed by Colorlib